- 논문&비평,  조경, 도시와 공간

방콕의 도심 운하

panorama

 

운하의 흐름과 도시의 확장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은 비슷한 문화적 요소를 공유하면서 유사한 형태의 발전을 하였다. 각 나라는 개별적 개성을 갖고 있지만 도시 문제의 차원에서는 비슷한 처지를 겪고 있기도 하다. 태국의 수도 방콕의 도심에는 운하가 있다. 짜오프라야강과 연결된 운하는 도시의 동쪽과 서쪽을 연결하고 있다. 방콕은 다른 도시와 다른 특수한 풍경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짜오프라야강을 따라 서쪽에서 동쪽으로 운하는 뻗어있다.

운하는 오래도록 교통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아직도 일부 수상택시(혹은 버스)의 형태로 운행되고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알다시피 다른 아시아의 도시처럼 방콕 역시도 오토바이와 자전거 그리고 자동차가 대부분의 교통운송을 담당하고 있다. 이곳의 운하는 대한민국에서 거론되었던 대운하, 또는 중국 강남 수향마을이 갖는 운하와는 사뭇 다르다. 대운하는 국토의 교통과 관련한 것으로 물류와 운송 등의 단어과 가까운 느낌을 준다. 반면 수향마을의 운하는 명나라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마을 규모의 운하이다. 물길을 따라 교통과 교육이 발달했던 역사적 배경을 이유로 그 모습이 잘 보존되어있다. 저우좡과 우젠은 시대를 거쳐 운하의 모양을 바꿔가며 마을을 계획하였고 일부는 홍수예방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방콕의 운하는 방콕 서쪽의 도심에서 도시가 확장하는 동쪽으로 뻗어있는 형국이다. 도로가 발달하지 않았을 때에는 많은 사람들이 지하철보다 빠른 속도로 출퇴근을 했을 지도 모르겠다. 방콕의 운하는 왕조에서 현대도시로 이어지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물길이 뭍과 연관을 맺고 흐름이 연결되고 또 퍼져 나가는 관계 속에 있었다.

종교도 운하가 만들어진 하나의 이유이다. 강물이 흐르는 곳 주위로 운하를 건설하면서 마치 그 안의 공간이 하나의 섬으로 표현될 수 있다. 태국 북쪽의 세계문화유산 아유타야 역시도 인위적인 작업을 통해 하나의 섬처럼 보인다. 유토피아를 상징하는 섬이다. 방콕의 운하 역시 방콕의 성과 도시를 감싸면서 하나의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다.

도시가 발전하는 것이 항상 확장을 의미하지는 않겠지만 근대와 현대를 거치는 세계 대부분의 도시는 확장과 발전의 궤를 함께 하고 있다. 그것은 도시의 물리적인 경계가 중심에서 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본래의 경계는 도시 안으로 편입됨을 말한다. 서울의 성곽이 지금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있는 것과 같은 논리다. 물론 이는 500년 이상의 세월이 만든 경관이다.

방콕 역시도 다르지 않다. 운하를 따라가다보면 과거 도시의 경계에서 성벽의 역할을 했던 문화유산들이 발견된다. 그 역할은 다했으나 여전히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다. 때로 그것은 흉물로 비춰지기도 한다. 그곳에 다시 생기를 불어넣는 일들이 우리 도시에 필요하다. 현재 방콕의 운하는 그 중심에 있다. 운하를 따라 지역적으로 발생한 마을, 문화, 역사는 정체되거나 소멸되고 있다.

현재 운하를 마주한 주택들은 모두 후면을 운하에 맞대고 있다. 건물과 운하 사이에는 1m-2m남짓 공간이다. 해외 많은 사례처럼 운하를 관광자원으로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하를 중심으로 건물의 정면은 운하 쪽의 면으로 바뀔 지도 모른다. 건축물은 운하의 워터프론트와 뒷 블록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많은 주거지들이 이 곳 운하에 면해 있다. 세밀하고 배려있는 도시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중국의 저우좡과 우젠은 도시가 크게 확장하지 않았고, 고유의 운하 형태로 그대로 남아있다. 마치 베니스의 고대 운하가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는 것과 같은 모습이다. 베니스 역시 계속적인 확장이 불가능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방콕은 그것과 다르다. 확장하는 도시이다. 그들은 분명 독특한 경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분명 해결가능한 문제이다. 사실 그 자체는 문제가 아닐 것이다. 그것을 어떻게 활용해야할지 고민하는 것이 문제를 만든 것일지도 모르겠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error: Content is protected by l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