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나다움에 대해,  - 일상의 생각

일부일처제?

050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의 뜻은 무엇일까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한 남편이 한 아내만 두는 혼인 제도’라고 합니다.
과연 이말은 맞습니까?

그럼 일처일부제(一妻一夫制)는 어떨까요? 이 단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비슷한 말로 일부일부제(一夫一婦制)가 있습니다.
국어사전을 검색하면 일부일처제와 같은 말이라고 합니다.

결국 남는 건 일부일처제입니다.
그렇다면, 일부일처제의 상대어는 무엇입니까?
흔히 일부다처제를 생각하기 나름이죠. 일처다부제가 생각나진 않을 겁니다.
제가 남자라서 그런건가요. 아닐 겁니다.

일부다처제(一夫多妻制)의 뜻은 이렇습니다.
‘한 남편이 동시에 여러 아내를 두는 혼인 제도’.
‘한 남편이 한 아내만 두는 혼인 제도’인 일부일처제와 상대적인 개념으로 보이지 않나요? 

위 두 단어의 차이는 ‘한 남편이 여럿의 아내를 소유할지, 한명을 소유할지’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보입니다.
‘소유’는 제가 첨가한 단어입니다만 ‘두는’ 이라는 말 속에 그런 의미가 내포됐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저는 왜 이런 개념이 나왔을지에 대해 궁금증을 가졌습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사회(혹은 동양 또는 우리나라)에서 한 남편이 여러 아내를 두는 관습을 가졌다가
한 아내만을 두는 것으로 변화되는 역사와 맥을 같이 한 게 아닐까요.
한 남편이 동시에 여러 아내를 두는 것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죠.

그렇다보니 단어의 정의또한 ‘한 아내로’ 제한하는 듯한 느낌을 풍깁니다.
주어도 남성으로 느껴집니다. 즉, 지극히 남성의 관점에서 풀이 한 것이죠.

영어로는 Monogamy 라고 합니다.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는데 그리스, 미국, 영국 모든 사전을 보아도 우리와 같은 뜻은 없는 것 같습니다.
Monogamy is a form of relationship in which an individual has only one partner during his or her lifetime or at any one time (serial monogamy), as compared to polygyny, polyandry, or polyamory.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Monogamy)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일부일처제의 정의가 바뀌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일부일처제라는 단어 혹은 그 단어의 풀이가 현재 우리나라 표준 국어에서 남성중심적이라는 겁니다.
단어를 만든 사람 또는 그것을 해석한 사람이 그렇다는 거지요.
‘한 남편이 한 아내만 두는 혼인 제도’가 아니라,
‘한명의 남편 또는 아내가 한명의 배우자와 혼인하는 제도’라고 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2

– 일부일처제 / 20160525

  • Cf. “Monogamy” in Britannica World Language Dictionary, R.C. Preble (ed.), Oxford-London 1962, p. 1275:1. The practice or principle of marrying only once. opp. to digamy now rare 2. The condition, rule or custom of being married to only one person at a time (opp. to polygamy or bigamy) 1708. 3. Zool. The habit of living in pairs, or having only one mate; The same text repeats The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W. Little, H.W. Fowler, J. Coulson (ed.), C.T. Onions (rev. & ed.,) Oxford 1969, 3rd edition, vol.1, p.1275; OED Online. March 2010. Oxford University Press. 23 Jun. 2010 Cf. Monogamy in Merriam-Webster Dictionar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error: Content is protected by l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