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나다움에 대해
-
사랑도 나비효과 같을까
사랑도 나비효과 같을까 아주 커다랗게 자라있겠지 나비는 곁에서 날고싶었던 것일까 사뿐히 마주보아 그 향기에 감싸지기를 바랐을까 닿지 않아도 바라만보아도 좋았을텐데 날개짓이 행여 맹랑한 바람이 될까 두려웠을까 – 사랑도 나비효과 같을까 2011.04.04
-
애연히
해가 지는 저쪽 끝에는 무엇이 있기에 바람은 또 그 무엇을 담아 오는 것일까 코 끝에서 느껴지는 그 애연은 이내 몸 전체를 감싸고 돌아 손끝에서 흩어진다 오늘도 나는 잠깐의 가을 안에 있다 마치 관성과 같은 사랑은 한 번 스러지면 또 거듭하여 흩어진다 어느새 커져있는 독백은 더욱 부풀어오르고 풀리지 않는 매듭이 되어간다 그 사이 마주한 애연과의 밀회는 곧이어 풍선처럼 터지고 만다 오늘도 나는 잠깐의 두려움 안에 있다 – 애연히 2011-09
-
끝내
언제 끝날지 알 수 없어서 나는 그저 그 끝에 머무른다 네가 말하는 그 끝에 나는 단지 이해하고 싶을 뿐이다 널 바라보고 그렇게 기다리고 너의 모든 일탈과 욕망 세속과 소진이 모두 지난 잔잔한 바다를 내 방식의 끝에서 – 끝내 2016.09.21.
-
기억의 습작
모든 건 때가 있는 법 이라 하니까 그래 그냥 기다리는데 그때가 다시 오지 않을 수 있다는 것도 알아버렸지 그래서 지난 그때에 나와 함께한 사람에게 참 고마웠다 느끼는 아주 사소한 감정 그 사랑이란 드문 기억에 나의 한잔 자작을 올린다. 고독와 슬픔은 오로지 나의 과거가 지닌 유산일 뿐 현재는 아니라는 것도 알아버렸지. – 기억의 습작 2016.07.21. 기억의 습작 / 박정현 듣기
-
어이는 언제 없애야하나?
한 번 일어난 일은 다시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두 번 일어난 일은 틀림 없이 세 번째도 일어난다. 연금술사에서 읽었던 문구다. 아랍의 속담이다. 그런데 사실 나는 생각이 조금 다르다. 한 번 일어난 일은 반드시 한 번 더 일어난다. 이것이 세 번째로 이어질 것인가는 두 번째에 결정하는 것이다. 연금술사를 읽었을 때 쓴 글이다. 15년 됐지만 아직도 난해하다. 한번 일어난 일이 재차발생할 것인지 또 그것이 두 번째인지 세 번째인지 묻고 있다. 한번 일어난 일이 다시 또 일어날 확률은 몇 일까? 그게 중요한가? …… 사실 중요하지 않다. 하려던 말은 한 번 일어난 어떤 ‘잘못’된 일이 두 번째에도 연이어 발생했다면, 반드시 세 번째 전에는 바로 잡아야한다는 것이었다. 바로 잡거나, 바로 잡을 수 있거나, 바로 잡아야 한다. 이건 내가…
-
휴지통 비우기 말고…
컴퓨터가 인간보다 나은 것은 완전삭제 기능이 있다는 것 인간의 메모리는 휴지통에 있다가 되살아나는 너저분함의 연속 – 휴지통을 삭제
-
타협
타협 : ‘앎’으로 포장된 ‘기술’이란 말로 다소 불쾌하고 인정하기 어려우며 마음에 반(反)하는 것으로 나를 변화시키는 것. 타협하지 않다 : ‘기술’이 없어 달성하지 못하는 어떤 결과에 대한 탓을 사회 또는 타인들(저급한)에게 돌리는 것. – 타협을 권하는 사람들 / 2016.09.26.
-
그의 조건
죽으려면 혼자 죽지 왜 죄 없는 사람까지 묶어서 데려가나. 죽으려면 같이 죽지 왜 죄 있는 사람을 놓고 가나. – 조건 / 16.10.3.